본문 바로가기
youtube kakao facebook instagram
ic-request

문의게시판

바로 가기

onestop

대관 예약

establishment guide download

시설가이드

다운로드

TOP

대관안내

전시장

전시장

전시장 대관문의 온라인 상담신청

구분 담당자 전화번호 이메일
정부 및 산업재 전시회, 국제행사, 공공행사, 이벤트 박현우 032-210-1023 phw429@ito.or.kr
소비재전시회, 기업행사, 촬영행사 조아라

이무영
032-210-1022

032-210-1021
sinagoga@ito.or.kr

noshadow@ito.or.kr

전시장 대관절차

  • 송도컨벤시아 대관 담당자와 가능 일정 협의 후 대관신청
  • 신청양식 제출(Email, 방문) : 전시장 사용신청 공문(자체양식), 전시장 사용신청서, 사업자등록증, 행사개요서 및 브로셔(자체양식)
  • 배정 확정 : 전시장 배정 및 계약일정 안내 공문 발송(송도컨벤시아)
  • 대관계약 및 계약금(대관료의 20%) 납부
  • 계약금 납부 확인 후
    - 계약서 2부 날인 송부(임차인)
    - 계약서 1부 우편 회신(송도컨벤시아)
  • 행사 준비(송도컨벤시아 지정협력업체와 업무협의)
  • 중도금(대관료의 30%) 납부
  • 홀매니저와 행사 운영 계획 사전 협의(개막식, 부스, 배너 등)
  • 홀매니저
    Tel. 032-210-1044, 1088 / Email: sdhm1088@gmail.com
  • 잔금(대관료의 50%), 부가세, 관리비예치금 납부
  • 홀매니저와 행사 운영 계획 최종 확정
  • 전시회 관련 모든 서류 제출
    - 주최자 : 주최자용 전시장 이용서류 제출
    - 협력업체 : 협력업체용 전시장 이용서류 등록
  • 전시회 및 행사개최
  • 현장지원 및 홀매니징(송도컨벤시아)
  • 전시장 관리비 정산(송도컨벤시아)
  • 세금계산서 및 관리비 정산 공문 발송(송도컨벤시아)
  • 행사결과보고서 제출
회의실/볼룸

회의실 대관문의 온라인 상담신청

구분 담당자 전화번호 이메일
회의실/볼룸 대관 문의 원스탑 고객 지원 센터 032-210-1111 convention2@ito.or.kr

※ 대관문의 : 온라인 상담 신청 및 행사 개요서 제출(E-MAIL)

※ 일정 협의 / 견적 요청 및 확인(회의실/볼룸, 장비, 기타서비스)

※ 대관신청 : 대관 담당자와 가능 일정 협의 후 예약 확정 시, 안내문 송부


회의실 대관절차

  • 온라인 상담 신청 (회의실/볼룸)
  • 행사 개요서 제출 (E-MAIL)
  • 사업자등록증 제출
  • 행사 운영 계획 협의(행사장 배치, 장비 사용 등)
  • 룸매니저와 사전 업무 협의 및 행사 운영 계획 최종 확정
  • 대관료 사전 납부 원칙
  • 회의실 및 장비 추가 사용 시 신청서 제출
  • 정산 : 추가 회의실 및 장비 사용료
촬영안내

촬영 문의(인천관광공사 송도컨벤시아 사업단)

구분 담당자 전화번호 이메일
전시장 로비/외부 공간(서문 제외) 안영천 032-210-1044 ycan95@ito.or.kr
전시장 내부 조예지 032-210-1027 yejijo@ito.or.kr
회의실 및 볼룸(로비)/서문 이상희 032-210-1033 sang29@ito.or.kr

촬영 안내절차

  • 송도컨벤시아는 유니크한 외관과 5,000평 이상의 대규모 전시공간 및 회의실을 갖춘 인천 송도의 랜드마크로,
    각종 CF, 드라마, 예능, 뮤직비디오 촬영지로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.


  • 촬영계획서 제출(콘티 등 촬영내용 포함)
  • 송도컨벤시아 촬영 담당자와 일정 및 장소 협의 후 대관신청 가능

  • ※ 촬영희망일에 전시 또는 컨벤션 행사가 있을 경우 촬영진행 불가
  • 필수제출서류
    1. 촬영허가신청서
    2. 사업자등록증
  • 최종확정
  • 계약체결 및 임대료 납부는 촬영 최소 3일전까지 완료
  • 촬영 진행
  • 현장 문의 및 지원 요청은 각 구역 촬영 담당자 또는 현장(방재실, 보안실) 문의

  • ※ 촬영 종료 후 모든 시설은 원상복구 되어야 하며, 장비 또는 시설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원상복구비 청구